-
대한민국에서 세번째 높은산 설악산카테고리 없음 2023. 7. 2. 02:11
설악산의 위치
설악산은 대한민국에서 세번째로 높은산으로 대청봉은 높이 1,708m 이고 1970년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965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 국제적으로도 그 보존 가치가 우수하다 인정되어 1982년 유네스코로부터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지역입니다. 설악산국립공원의 총면적은 398.237㎢에 행정구역으로는 인제군과 고성군, 양양군과 속초시에 위치하고 있는데 인제 방면은 내설악, 한계령~오색방면은 남설악, 그리고 속초시와 양양군 일부, 고성군으로 이루어진 동쪽은 외설악이라고 부릅니다. 설악산은 주봉인 대청봉을 비롯하여 소청봉, 중청봉, 화채봉 등 30여 개의 높은 산봉우리가 웅장하게 펼쳐져 있습니다.
설악산 국립공원
설악산국립공원은 398.237㎢로 광대한 면적에 수많은 야생 동식물들이 함께 살고 있는 자연생태계의 보고로 수려한 경관자원을 가지고 있는 공원입니다. 설악산국립공원은 한반도 등줄기인 백두대간의 가운데에 위치한 산으로 선캄브리아대의 화강암질과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대청봉 부근과 백담사 남쪽의 육성층인 설악산층을 제외하면은 대부분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화강암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설악산은 백악기말 화강암이 관입한 이래로 단층작용과 습곡작용에 의하여 서서이 융기하다가 신생대 제3기 약 2,300만 년 전 경동성 요곡운동으로 태백산맥이 형성되면서 함께 높이 솟아 올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최고봉인 대청봉을 중심으로 서쪽의 귀때기청 대승령으로 이어지는 서북주능, 북서쪽의 미시령, 마등령으로 이어지는 설악산맥, 북동쪽의 화채봉 칠성봉으로 이어지는 화채능선 등 3개의 주능선으로 크게 지형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이들 능선들을 경계로 하여 서쪽은 내설악, 동쪽은 외설악, 남쪽은 남설악으로 불립니다.
설악산 탐방로
1. 용소폭포코스 : 약수터탐방지원센터 - 성국사 - 용소폭포 - 용소폭포탐방지원센터
*소요시간 : 1시간 *거리 : 3.2km *난이도 : 하
2. 울산바위코스 : 소공원 - 신흥사 - 흔들바위, 계조암 - 울산바위
*소요시간 : 2시간 *거리 : 3.8km *난이도 : 중
3. 비룡폭포(토왕폭전망대) : 소공원 - 육담폭포 - 비룡폭포 - 토왕성폭포전망대
*소요시간 : 1시간30분 *거리 : 2.8km *난이도 : 하
4. 금강굴코스 : 소공원 - 와선대 - 비선대 - 금강굴
*소요시간 : 2시간 *거리 : 3.6km *난이도 : 하
5. 양폭코스 : 소공원 - 와선대 - 비선대 - 귀면암 - 양폭대피소
*소요시간 : 3시간10분 *거리 : 6.5km *난이도 : 하
6. 백담사코스 : 백담분소 - 백담사
*소용시간 : 1시간30분 *거리 : 6.5km *난이도 : 하
7. 수렴동코스 : 백담분소 - 백담사 - 영시암 - 수렴동대피소
*소요시간 : 3시간 *거리 : 11.2km *난이도 : 하
8. 남교리코스 : 남교리 - 복숭아탕 - 대승령 - 장수대
*소요시간 : 6시간30분 *거리 : 11.3km *난이도 : 중
9. 대승폭포코스 : 장수대 -대승폭포
*소요시간 : 40분 *거리 : 0.9km *난이도 : 하
10. 대처봉코스(오색) : 오색 - 설악폭포 - 대청봉
*소요시간 : 4시간 *거리 : 5.km *난이도 : 상
설악산의 깃대종
깃대종이란 특정 지역의 생태 지리 문화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야생동식물을 일컫는 것으로 인간이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인정하는 종을 뜻합니다. 설악산의 대푝적인 깃대종은 산양과 눈잣나무가 있습니다.
1. 산양 : 몸길이는 1.2 ~ 1.5 m, 어깨높이는 70 ~ 85 cm, 몸무게는 약 60 kg 정도이며, 머리 위로 솟은 뿔이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으로 풀이나 덩굴 등을 먹고, 설악산에는 1000여 마리가 존재하며, 이는 전국의 산양 개체수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2. 눈잣나무 : 눈잣나무는 멸종위기에 처한 종류입니다. 낙엽수로 전국적으로 자생하지만, 아래쪽 지대에서는 자라지 않고 고산지대에서만 자생합니다. 눈잣나무는 오래된 나무로 설악산에서 자생하는 경우 수백년에서 수천년 이상을 살아가기도 합니다. 그리고 열매인 '잣'은 꼭지형으로 주변의 깍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영양가가 높고 맛이 좋아 다양한 요리에 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개발 등으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니 보호가 필요합니다.
설악산의 주요 경관
설악산의 주요 경관으로는 호박바위, 기둥바위, 넓적바위 등이 용아장성, 공룡능선, 울산바위를 중심으로 발달해 있어서 우리나라 제일의 암석지형의 경관미를 갖춘 국립공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하상경관이 있는곳으로서 구곡담, 십이선녀탕, 천불동계곡을 중심으로 많은 폭포와 다양한 크기의 소, 담 등이 암석지대와 조화롭게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뽐내고 있습니다. 설악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시베리아아구와 중국아구의 동식물이 교차되는 지역입니다. 그래서 지리적으로 시베리아구의 바로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지형상 북한의 고지대와 연접하는 태백산맥 북쪽에 위치한 높은 지대이기도 하기에 시베리아구의 동물들이 남하하여 서식하고 있습니다. 설악산은 천연보호구역, 국립공원,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보고이자, 온대중부의 대표적인 삼림지대 입니다. 이 지역은 상록침엽수와 낙엽활엽수의 혼효림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부분적으로는 단순림을 형성한 곳도 있습니다. 식물분포로는 북방계식물인 눈잣나무 등의 남한지대인 동시에 남방계식물인 때죽나무 등의 북한지대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큽니다. 또한 설악산 일대에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자연자원의 분포 서식지로 인정되어 1982년 유네스코(UNESCO)로 부터 우리나라 최초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설정되었으며 2005년 12월 IUCN(세계자연보전연맹)으로부터는 카테고리Ⅱ(국립공원)로 지정된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