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제주도 해녀를 아시나요
    카테고리 없음 2023. 6. 25. 00:42

    제주도의 해녀

    제주 해안 주변에서 생산되는 해산물에서 주로 생계를 꾸리는 여성들을 의미하며, 제주도에서는 해녀(Haenyeo) 라고 부릅니다. 제주도 해녀문화의 역사성과 독창성은 2016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만큼 해녀들은 멋진 기술과 놀랄 만큼 긴 해녀 노래로 유명합니다.

    해녀들은 보통 10m~20m 깊이의 바다에서 다양한 해산물들을 혼자서 채취하며 무거운 무게를 견뎌내며 일을 하기 때문에 강한 체력이 필요합니다. 제주도 해녀들은 대체로 나이가 많으며, 50세 이상이 되어야 지위가 인정됩니다. 그리고 물질의 실력에 따라서 상군, 중군, 하군으로 나뉩니다.

     1. 상군 : 성인해녀(20세 이상) 중 1등급으로 분류되는 해녀 중

     2. 중군 : 성인해녀(20세 이상) 중 2등급 또는 3등급으로 분류되는 해녀

     3. 하군 : 미성년자해녀(19세 이하) 또는 성인해녀 중 4등급으로 분류되는 해녀 각 등급마다 연령대와 여러 요소가 고려되어 분류되며, 지역에 따라 상, 중, 하군의 명칭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해녀들의 작업

     

    해녀들이 바다에서 작업을 하는 형태는 스노클링으로 물 위에서 호흡을 하면서 일을 하거나, 더 깊은 곳에서는 고무 부츠를 신고 따로 호흡구를 써서 작업합니다. 초보자들은 일단 불안감을 극복하고 굴·바지락·홍합 등 작은 개체들부터 차례로 먹이를 적어 나가며 노려보게 됩니다. 그러나 해녀들은 전통적인 항해용 방향타를 조작했다는 점, 잠수갑이나 칼을 활용한 경험 등 대체로 적극적으로 굴채를 해나갑니다.

     

    해녀의 역사

    해녀 수집의 역사는 고대 조선시대(BC 20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들은 바다에서 살아오기 때문에 가난하고 결식에 시달리는 일이 많았으며, 농업, 어업 등 다른 산업이 없는 시기에는 바다에서 나아가 기본 생활비를 확보하기도 했습니다. 조선시대 후기부터 해녀들이 선물에서 사치품까지 모두 생산하는 제주 해산물은 국내외에서 유럽, 일본, 대만 등에서 유동적으로 거래되어 왔습니다. 먹거리로서의 대표적인 것은 바지락전, 홍합전 등이 있으며, 추출물을 이용해 화장품 등 여러 가지 제품도 생산됩니다.

     

     

     

    다른 나라의 해녀

    제주 해녀와 같이, 다른 나라에도 이와 유사한 전통적인 해녀 문화가 존재합니다. 많은 나라들이 바다에서 해산물을 채취하면서 농어촌 생활을 꾸려왔습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나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중국 : 중국에서는 해녀를 "Haenyeo(海女)"라고 불리며, 한국의 제주 해녀와 유사한 문화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해녀들은 북쪽 해역에서도 활동하기 때문에 한국의 해녀와 다르게 추운 날씨에서도 일하며, 다양한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강인한 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일본 : 일본에서도 해녀문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Ama(아마)"라고 불리는 일본의 해녀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지중해와 관련된 식재료를 수집하고 생산합니다. 또한 일본의 최고급 해산물 중 하나인 "Ise-ebi(이세에비)"를 수확하기도 합니다.

     3. 남아프리카공화국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해녀는 "Geechee(지치, Gullah) 해녀"로 불립니다. 대서양 연안 지역의 해안에서 살며, 주로 새우, 멍게, 소라 등을 수집합니다. 지치 해녀 문화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구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 사회문화와 결합하여 전통적인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4.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에서는 "Nelayan(넬라얀)"이라고 불리는 해녀 문화가 전해져오고 있습니다. 말레이시아는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특히 동해안 지역에서는 수산물 산업이 개발되었으며 그와 관련한 해녀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Nelayan은 주로 가오리와 인어복 등을 수집합니다.

     

    맺음말

    해녀 문화는 바다에서 인간의 삶을 이야기합니다. 여러 나라에서 유사한 문화를 전하고 있지만, 각 나라의 지리적, 기후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도 있는만큼 그들의 독특한 문화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제 해녀의 수는 점점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유 중의 하나는 바다에서 얻는 해산물의 양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해녀들이 자녀들에게 다른 직업을 선택하도록 권유하면서 해녀들이 줄어드는 현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바다에서 일하기 때문에 상처, 손상 등 위험성이 높다는 점도 해녀의 수가 적어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최근 해녀들은 발 걸음을 멈추지 않고, 빈곳을 채워 나가며 전통을 계승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들은 오랫동안 전해온 문화와 습관을 간직하면서 섬끝까지 버티며 바다와 함께 노래를 부르고, 자연과 어울릴 줄 아는 지혜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도 해녀들은 자연환경을 지키기 위해 장시간과 깊은 바다에서 일을 하면서도 자신들의 전통적인 지혜와 기술을 유지하면서 지켜나가는 모습에서 동시에 자연과 사람의 조화를 이루는 전형적인 지역사회문화의 대표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